도서/모두의 네트워크
네트워크의 규칙
곰돌이볼
2023. 3. 29. 10:56
프로토콜(protocol)
- 프로토콜 : 네트워크 통신 규칙
OSI 모델
- OSI 모델 : 국제표준화기구(ISO,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)이 제정한 통신표준규격
- OSI 모델에서 계층 대신 "레이어"라는 단어 사용 가능
- 데이터 통신 : 송신 → 7계층 ~ 1계층(상위 계층 → 하위 계층) → 1계층 ~ 7계층(하위 계층 → 상위 계층) → 수신
- 독립적인 각 계층
- 각 계층에는 다양한 프로토콜 존재
- OSI모델의 7계층
- 7계층 - 응용계층(Application Layer) :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제공
- 6계층 - 표현 계층(Presentation Layer) : 데이터 변환
- 5계층 - 세션 계층(Session Layer) : 세션 체결 및 통신 방식 결정
- 4계층 -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 : 신뢰할 수 있는 통신 구현
- 3계층 -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 :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경로 설정 및 논리 주소 결정
- 2계층 - 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 :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 주소 결정
- 1계층 -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 : 시스템 간의 물리적 연결과 전기 신호 변환 및 제어
TCP/IP 모델
- TCP/IP 모델 : OSI 모델의 7계층 구조를 4계층 구조로 변경한 모델
- TCP/IP 모델의 4계층
- 4계층 -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
- 3계층 -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- 2계층 - 인터넷 계층(Internet Layer)
- 1계층 - 네트워크 접속 계층
데이터 송수신의 캡슐화(Encapsulation)와 역캡슐화(Decapsulation)
- 캡슐화 :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의 앞부분에 헤더를 붙이는 것
- 역캡슐화 : 데이터 수신 시 데이터의 앞부부에 있는 헤더를 제거하는 것
- 헤더(header) :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정보
- 데이터 송수신 과정
- ① 송신측은 응용 계층(OSI 계층에서 5, 6, 7계층을 묶어서 응용계층이라고 하기도 함)에서 요청 데이터 생성
- ② 전송 계층에서 통신의 신뢰성을 위해서 ①에서 만든 데이터 앞에 헤더 추가
- ③ 네트워크 계층에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서 ②에서 만든 데이터 앞에 헤더 추가
- ④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다른 물리적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해서 ③에서 만든 데이터 앞에 헤더, 뒤에 트레일러 추가
- ⑤ 물리 계층에서 ④에서 만든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서 수신 측에 도착
- ⑥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수신받은 데이터의 앞에서 헤더, 뒤에서 트레일러 제거
- ⑦ 네트워크 계층에서 ⑥의 데이터의 앞에 있는 헤더 제거
- ⑧ 전송 계층에서 ⑦의 데이터의 앞에 있는 헤더 제거
- ⑨ 응용 계층에서는 모든 헤더가 제거된 데이터 수신
- ① ~ ④ 과정 : 캡슐화, ⑥ ~ ⑨ 과정 : 역캡슐화
- 도서 「모두의 네트워크」(미즈구치 카츠야)를 참고해서 위 본문을 작성하였습니다.